학과소개

학과소개

바이오의약학과는 체계적인 이론교육과 아울러 실험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다양한 인체질환 진단 및 치료용 의약품 개발 기술과 관련된 바이오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초와 응용에 충실한 전문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생명과학과 유기화학을 기본으로 동식물, 미생물의 다양한 생물시스템과 대사시스템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식품, 합성의약품, 향장품, 바이오의약 소재의 개발, 질병발생 및 진단 연구 등의 응용 분야 내용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학과의 주요 진출 분야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품질관리, 제품개발 기획, 마케팅 분야의 융합된 교육과정을 학년별 수준에 맞춰 운영함으로써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분야의 창의적이며 차별성을 지닌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생명과학(Life Science)의 목표

생명과학의 목표

생명과학의 현재와 전망

  • 21세기 첨단주도산업
  • 신성장동력산업
  • 현재 : 생명과학의 분야별 분리 교육 (생물학, 생화학, 농학, 의학, 약학, 식품학, 수의학 등)
  • 전망 : 생명과학의 분야의 통합 교육 ‐ 서양과학과 동양과학의 상호보완적 접목 기초 + 응용 → 산업화, 실용화

바이오의약학과는 생화학이라는 학문적 기반 하에 발전되어 왔습니다. 바이오의약학과는 생화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리학 등을 바탕으로 인체 건강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생체기능의 조절기작과 조절물질을 밝히고, 이를 건강관련 제품 생산에 이용하기 위한 응용분야까지 포함하는 폭 넓은 학문입니다. 바이오의약학과는 각 전공 관련 분야를 통합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 졸업 후 어떤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 목적

변화하는 지구의 자연환경 속에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동양적 그리고 서양적 생명관을 접목하여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인간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잇는 생명과학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학과 특성

바이오의약학은 생명과학의 기초 분야인 생화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리학 등을 바탕으로 인체 건강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생체기능의 조절기작과 조절물질을 밝히고, 이를 건강관련 제품 생산에 이용하기 위한 응용분야까지를 포함하는 폭 넓은 학문이다.

1985년 생화학과로 출발하였으며, 학부제 중심의 교육제도 개편과 생명과학의 급속한 발달에 부흥하기 위하여 생명의 기초분야와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식품, 약품, 의료 등 생명현상을 이용하는 응용분야를 접목시킨 지금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즉 과거 각 분야별로 분산되었던 생명과학 관련 학문을 통합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졸업 후 생명과학의 어떤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 목표

생명과학의 종합적 교육
기존에 각 분야별 분산된 생명과학 관련 학문을 통합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졸업 후에 급진전을 보이는 생명과학의 어떠한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연구자 육성
생명과학의 기초와 응용의 일체화
복잡하고 다양하게 보이는 생명현상의 공통원리와 기초적 학문을 동식물, 미생물 등을 통하여 습득하고, 신 기능성 식품, 질병, 동서 의약품 등의 생명현상을 이용하는 응용학문에 인체이해를 기본 중심촉으로 하여 최신 Biotechnology 기술을 연구수단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연구 수행능력의 경비
4년간의 학부 과정을 거치면서 생명과학의 기초적 이론지식 습득 및 과제 부여시 이를 해결할 실헙방법을 선택하고, 실험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 배양

타 대학과의 차별성

타 대학과의 차별성 표
전공별 효능평가 및 분석 가공 물질분리·정제 의약품 등록 생명현상 연구 식의약 교육 및 연구
약학대학 O X O X X / O X / O
한의과대학 O X X X X / O X / O
식품화학 및 공학 X O O X X X / O
약학대학 O X O X X / O X / O
기타 생명공학
관련대학
X / O X X X X / O X / O
바이오의약학과 O O O O O O

바이오의약학과 Vision

타 대학과의 차별성 표
목표 전략 추진 방안
취업형 교육
(취업 능력 강화 인재 양성)
전문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인재 양성
국가기술 자격증 실무 교육
자격증 취득 (화학분석기사, 품질관리사 등)
다양한 취업 트랙용 연계 전공 구축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 지원 비교과 교육 추진
진학형 교육
(의약학 전문 대학원 관련 인재 양성)
의생명과학 기초 교육 강화
Pre-Pharm · Med 전공교육 강화
전공과목의 지속적인 재편성과 교육 내용 업데이트
대학원 진학 관련 비교과 과정 개설 및 교육 강화
특수 준비반 개설 및 교육 강화 융합형 교육
(국제화에 부응하는 인재 양성)
생명과학 분야에는 Local의 특성을 가지고
Global 흐름을 주도하는 인재 양성
건강, 의료 분야의 통합교육 강화
생물정보학 연계교육 도입
전공과목의 재편성과 교육 방법 질적 강화
인공지능과 컴퓨터 생물학 교육 도입
대학원 교육 질적 강화
국내외 대학 및 관련 기관 협력강화

타 전공과의 연계 Vision

생명과학의 기초분야와 응용분야를 접목하여 종합적이고 필수적인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므로, 생명관련 기초분야는 물론 응용분야의 어떤 전공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폭넓은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컴퓨터 전공과 연계 : 생명정보학내지 컴퓨터 생물학 분야 취업
경영, 행정학과 연계 : 생명과학 연구기획 관리 분야 진로와 취업
환경 분야와 연계 : 환경 관련 공공기관 진로와 취업
의학 분야와 연계 : 임상 진단학 분야 등 진로와 취업
경찰학, 소방학 분야와 연계 : 과학수사 분야 등 진로와 취업
디자인 분야와 연계 : 바이오헬스 산업 제품 디자인 분야 등 진로와 취업

학과 출신 바이오리더 동문

타 대학과의 차별성 표
순번 학번 성명 소속
1 85 임병우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의약학과
2 85 김창성 한국화학시험연구원
3 85 안상건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기초치의학교실
4 86 한은택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환경의생물학교실
5 88 최인호 경남과학기술대학 생명과학대학 농학한약자원학부
6 89 최홍엽 McGillUniversity
7 89 최성돈 ㈜썬로이
8   조중호 미국켄터키주립 루이빌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의학과
9 90 박상규 미국 위스콘신대학
10 90 강상욱 울산의대 의생명과학과
11 90 이승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12 90 이휘철 농촌진흥청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공학과
13 92 전태일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부
14 92 이재혁 파스칼바이오
15 92 최동희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17 93 이주용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18 93 박영진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의약학과
19 93 유지훈 대구경북첨단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유효성평가팀 (책임연구원)
20 94 안홍석 ㈜서흥
21 94 이준호 ㈜프롬바이오 식품연구소2팀
22 94 정일섭 ㈜에이프런티어 (구)영인프런티어 영업부서울협력팀
23 95 김남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원산지검정과
24 97 허용호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생명공학사업부문 바이오사업본부
25 98 임지홍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의약학과
26 99 김용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27 99 박상웅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보건과학대학 응급구조학과
28 99 서수진 식품의약품안전처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정청 수입식품분석과
29 00 양민규 ㈜마더스제약 신약개발팀
30 00 이주한 ㈜바이오스타코리아 네이처셀 줄기세포기술연구원
31 01 김혁순 동아대학교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32 03 김재곤 ㈜안국건강 부설연구소
TOP